용계동은 동쪽으로 서구 도안동과 구계(區界)를 이루고 서쪽으로는 계산동, 학하동과 접해 있다. 남쪽으로는 대정동과 이웃해 있고, 북쪽으로는 상대동, 원신흥동과 인접해 있다.
용계동에는 용계, 옥살미, 접수, 칼재울, 바바위, 산직말, 연암골, 밤고지, 뒤간모링이, 외딴집, 홍계 등의 마을이 있다.
용계(龍溪)는 옥살미 서남쪽, 용계동을 지나는 호남고속도로와 유성대로 동쪽에 자리하고 있다. 용계는 양지바른 곳의 마을 양달뜸과 음지에 속하는 음달뜸의 두 개 마을로 나뉘는데, 음달뜸의 뒷산이 용머리와 같다고 한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또한 대정동의 용머리 마을에서는 용머리 마을의 살아있는 용에 밀려서 밀머리가 되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곳의 용은 죽은 용이라 한다. 용계동에는 다음과 같은 노래가 전한다.
“접소란 마을에서 짐승을 잡아 옥살미 마을에서 올가미로 옭고 칼재울 마을에서 칼을 갈아
밀머리 마을에서 밀어버려(잡아죽이다, 요리하다) 술안주 삼는다“
옥살미는 용계동의 중심 마을로 칼재울 동북쪽에 자리하고 있는데 옥산(玉山)이라고도 부르는 마을이다. 마을이 옥토끼가 달을 쳐다보는 형국 즉 옥토망월형(玉兎望月形)의 명당이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접수(接水)는 칼재울 동쪽, 옥살미 북쪽에 자리한 마을로 접우(接牛)라고도 부른다. 진잠천과 한내물이 합하는 지점에 있으므로 접수라 부르고, 이 근처에 소가 누운 형국, 즉 와우형(臥牛形)의 명당이 있으므로 그렇게 부른다고 하며, 칼재울은 용계동의 서남쪽, 흥도초등학교와 유성, 진잠의 경계에 자리한 마을인데, 도척리(刀尺里), 갈현(葛峴)이라고 부른다. 이 마을의 안쪽에 있는 박산에서 북쪽의 지형을 살펴보면, 칼재울 마을은 장수가 칼집에서 칼을 잡는 형국을 한 고개라 칼재울 혹은 도척이라 부르며, ‘칼’의 옛말이 ‘갈’이기 때문에 ‘갈현’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바바위는 칼재울 서북쪽, 옥살미 동쪽에 자리한 마을이다. 도참설에 따르면, 마을이 있는 자리가 소가 누운 형국 즉 와우형의 명당에 따른, 바(참바)에 해당한다고 하여 바바위 또는 바바우라고 부른다.
산직말은 칼재울 동쪽으로 옆에 있는 마을인데, 옛날 이곳에 산직(山直)이 집이 있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고, 연암골은 산직말 북쪽에 있는 마을로 연암리(連岩里)라고도 부르는 마을이다. 바위가 연하여 있는 곳에 마을이 있다고 해서 부르는 이름이다.
밤고지는 밀머리의 양지뜸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는 밤나무가 이곳에 많았던 마을이라 밤곶이라고 부르다가 밤고지가 된 것이고, 뒤간모링이는 밤고지 북쪽으로 산너머에 있는 마을인데, 큰 기와집의 뒷간처럼 작은 마을이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외딴집은 옥살미의 남동쪽에 있는 작은 마을인데, 외따로 떨어진 곳에 마을이 있다고 해서 그렇게 불렀고, 흥계(興溪)는 칼재울 서북쪽, 명수대 동쪽에 있는 마을로 지금은 여러 차례의 수해로 없어졌지만 옛날에는 매우 큰 규모의 마을이었다고 한다.